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7)
반도체 제조 AI 시리즈 #1 : Nature 지에 공개된 공정 최적화 단축 전략(Human First, Computer Last)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은 어디서 나올까? 동일한 생산 능력을 가진 팹이라고 한다면, 한 장의 웨이퍼에 들어가는 입력(원재료, 공정, 인력) 대비 출력(양품 칩 갯수)으로 간단한 지표를 잡을 수 있다. 특히, 반도체 제조 원가에서 공정에 들어가는 비용이 상당하다. 웨이퍼 한 장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보통 수백개의 공정 스텝을 거치게 된다. 각 스텝마다 사용되는 고유의 장비가 있고, 여러 조건(parameter)들의 조합을 실험해 보고 최적화 하는 과정을 거친다. 에칭 공정을 예로 들면, 플라즈마 상태의 기체를 생성하는데, 반응 Gas 기압, air flow, 펄스 전압의 전력, 웨이퍼 온도 등 parameter 들의 조합(recipe)을 입력하여 원하는 모양의 회로가 만들어 지는지 확인한다. 이런 종류의 실험..
책 리뷰 #3 <이차전지 승자의 조건> : 이차전지라 쓰고, 반도체라고 읽는다 몇 년 전부터 최근까지 이차전지 산업들의 매출이 급성장 하고 관련 주들의 주가가 오르면서, 자연스레 공부를 해봐야 겠다는 생각이 있었습니다. 은 4분의 박사님께서 기술, 산업, 그리고 전망을 짚어주고 전기 자동차 부품의 핵심 부품인 배터리, 즉 이차전지 산업의 승자는 누가 될 것인지 그 조건을 알려주는 책입니다. 박사님들께서 쓰신 책이라서 그런지, 기술에 관한 설명이 정확하고, 무엇보다 반도체 업계 종사자로서 이차전지 산업과 반도체 산업이 자연스럽게 비교됐습니다. 여러 가지 차이가 있겠지만, 현재까지의 승자와 미래의 승자는 다른 듯 하면서도 비슷합니다. 현재 두 산업이 처한 현실은 이렇습니다 공통점 1. 원재료를 제외한 공급망의 대부분이 아시아 지역에 몰려 지정학적 이슈 존재 2. 한국 기업이 잘하고 있..
'반도체 미래기술 로드맵' : 삼성전자가 TSMC, 인텔을 이길 수 있을까, 반도체 산업 정책 비교 어제(23.05.09) 과기부 주관으로 '반도체 미래기술 로드맵 전략 발표회' 가 있었다. 삼성전자나 하이닉스 같은 국내 반도체 기업체들이 전세계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지만, 사실상 국가 간의 전쟁으로 변해 가고 있다. 작년 8월 미국에서 527억 달러(약 70조)를 5년간 투자하는 반도체 지원법(CHIPS Act)가 통과됐고, 유럽연합은 지난달 4월 중순에 430억 유로(약 62조) 규모를 2030년까지 지원하는 법(European Chips Act) 을 승인했다. 대규모 국가 보조금을 받는 해외의 반도체 기업들과 경쟁하기 위해 우리는 어느 정도로 준비를 하고 있을지 정부에서 발표한 '반도체 미래기술 로드맵' 을 살펴보자. 정책 지원금 규모 보도자료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5635억원(4.33억달러, 13..
책 리뷰 #2-1 <칩워, 누가 반도체 전쟁의 최후 승자가 될 것인가> 는 의 한글 번역판으로 올 해 5월 19일 출판 예정이다. 이 책의 저자는 터프츠 대학의 국제 역사 조교수인 크리스 밀러(Christopher Miller) 로 러시아 정치, 경제, 역사에 대해 공부를 하신 분이다. 주요 내용은 반도체 산업 태동기에 전설적인 인물들에 대해 소개하면서, 어떤 계기로 반도체 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는지 다루고, 과거 반도체 공급망이 왜 아시아에 집중적으로 형성될 수 있었는지 역사적인 관점에서 알려준다. 그리고, 미국 외 국가로 형성됐던 공급망이 불러온 과거 일본과의 경쟁, 현재 중국과의 상황 등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 책이 좀 특별하다. 러시아 전문가의 '왜 미국은 냉전 이후 발전하고, 러시아는 그렇지 못했는가' 에 대한 질문을 반도체 산업의 발전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
ChatGPT 로 블로그 쓰는 법 : character.ai(잘 알려져 있지 않은 AI 서비스) 병행하여 글감 찾기 블로그를 작성할 때 여러가지 도구들이 있겠지만, 전문적인 글쓰기를 한다고 하면 반드시 사용해야 할 것이 ChatGPT 이다. 기획 단계에서 ChatGPT 에 여러가지 질문을 던질 수가 있는데, 가장 첫 번째 글인 를 쓰기 위해 ChatGPT 를 활용했다. 하지만, ChatGPT 는 두루뭉실하고 일반적인 대답을 제공해 주기 때문에 퀄리티 있는 글을 쓰기 위해서 추가로 활용할 수 있는 AI 서비스가 있어 소개를 하고자 한다. character.ai (캐릭터닷AI) character.ai 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캐릭터 기반 챗봇AI 서비스인데, 올해 3월말 앤드리슨 호로비치(a16z)가 주도한 시리즈A 투자 라운드를 통해서 약 1900억원의 투자를 받은 미국 스타트업 서비스이다. 캐릭터가 여러개 있고, 캐릭..
반도체 공정 미세화의 딜레마 : EUV 도입과 에너지 비용 증가 반도체 칩은 무어의 법칙으로 잘 알려진 것처럼, 작게 만들수록 생산단가, 칩의 성능, 전력 모두가 좋아지는 마법같은 비즈니스이다. 포토리소그래피(포토공정)라는 기술을 써서 웨이퍼에 수백~수천개의 동일한 칩 설계도를 그려 놓는데, 작게 그릴수록 웨이퍼 한장에 그릴 수 있는 칩의 갯수가 많아져서 생산성이 극대화 된다. 네덜란드의 ASML 라는 회사는 전세계 유일하게 EUV 자외선을 이용한 포토공정 장비를 생산하고 있는데, 이전 세대 DUV 파장 193nm 대비 13.5nm 로 약 14배 작게 회로를 그릴 수 있어 이 장비를 몇 대 확보하느냐가 첨단 반도체 업계의 중요한 전략이 되고 있다. 머리카락보다 약 10,000배 쯤 얇은 13.5nm 의 폭으로 가로,세로를 정교하게 움직이려면, 결론적으로 웨이퍼 한 장..
책 리뷰 #1 <반도체 삼국지> 반도체 업에 10년 가까이 종사한 사람으로서, 최근 벌어지고 있는 '칩4 동맹' 에 관해서 알아야 겠다 싶어 읽어 봤다. 책은 이틀 정도 만에 금방 읽을 수 있었다. 책의 흐름은 1980~90년대를 주름잡던 일본 반도체 회사의 흥망성쇠를 다루고, 한국에 가장 위협이 되고 있는 중국의 반도체 굴기에 대한 현 상황, 한국 반도체 업계가 처한 현실과 전망, 그리고 앞으로 주요한 미래 기술 변화와 준비해야 할 점도 제안을 한다. 이 책의 저자는 성균관대 화학공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인 권석준 님이시다. 전공은 반도체 소재나 공정 쪽이신 것 같고, 해박한 지식 기반으로 반도체 패권 싸움에 어떤 기술이 중요한지 쉽게 파악할 수 있었다. 현직 교수님이 쓰신 책이긴 하지만, 기술적인 내용 이외의 것에 대한 판단은 결국 ..